본문 바로가기

일본어학습20

일본속담-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몇 달 전에 도쿄의 키치조지(吉祥寺)라는 곳에 유명한 멘치카츠집이 있다고 해서 찾아가 봤습니다. 꽤 유명한 집인가보더라고요. 사람들이 줄을 서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더라고요. 유학생 시절에 친구로부터 가 보라고 추천을 받아서 그제서야 가봤는데 …. 생각보다 그리 맛이 있지는 않았습니다. 왜 이걸 줄을 서서 먹지?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사람 제각기 미각이 다르긴 하지만요. 소문이나 기대에 비해 실속이 없거나 사실이 소문과 일치하지 않을 때 비유적으로 쓰는 말이 있죠.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일본에도 그런 말이 있습니다. 名物に旨い物なし(めいぶつにうまいものなし) (명물 치고 맛 좋은 것 없다) 2020. 4. 19.
일본어의 조사 「よ」 일본어의 문장 끝에 오는 종조사 「よ」는 우리말의 '요'와 발음이 비슷하며 문장 끝에 오는 것도 같아서, 뜻도 같은 줄 착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그렇게 설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쓰임새는 전혀 다릅니다. 우리말의 '요'는 '해요체'의 일환으로 단순히 부드러운 높임말을 나타낼 뿐입니다.이에 비해 일본어의 「よ」는 다음과 같은 때 사용합니다. 상대방에게 새로운 정보라는 사실을 알리고자 할 때 あの店よりこの店のほうが安いよ。(저 가게보다는 이 가게가 더 싸다.)田中さん、ここが違いますよ。(다나카씨, 여기가 달라요.) 비난의 기분을 표현할 때 → 이럴 때는 의문문과 함께 사용하기도 하죠. 何するのよ!どこに行くんだよ!(뭐 하는거야! 어디 가는거야! )私のパン、食べたの誰よ。(내 빵, 먹은 놈 누구야?).. 2018. 5. 7.
일본어의 조사 「ね」 문장 끝에 오는 종조사로 「ね」가 있습니다.일본어를 모르는 사람도 많이 들어본 조사일 겁니다. 이 조사는 가벼운 감탄이나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은 예문을 보면 알 수 있죠. このビルは高いね。(이 빌딩 높구나!)可愛いね。(예쁘다!) 中村さんですね。(나카무라 씨네요.)私の意見とは違いようですね。(제 의견과는 다른 것 같네요.) 이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동의를 구하거나 공감할 때도 사용합니다. 今日は本当に寒いね。(오늘 진짜 춥다.)これ、美味いね。(이거 맛있네!)では、またね。(또 만나.) 의견을 주장할 때도 사용합니다. 이 경우 「ね」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의미가 변하지는 않습니다. 彼はもっと頑張ってほしいね。(그는 좀 더 분발하길 원한다.)彼はもっと頑張ってほしい。(그는 좀 더 분발하길 원한다.) .. 2018. 5. 6.
일본속담-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일본어를 공부하면서 우리 속담과 비슷한 것이 많다는 것은 느꼈는데요.그 중 너무 똑같다는 생각이 드는 것 중 하나가 이 말입니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상대방이 말을 뭐 없게 하면 이 쪽에서도 좋은 말이 나오지 않는다는 의미로 많이 쓰이죠. 우리는 '가다/오다' 인데, 일본은 '팔다/사다' 입니다. 즉, 파는 말에 사는 말. 뭐 이런 뜻이죠.어딜 가나 이런 속담은 하나씩 있나봐요. 売り言葉に買い言葉 (うりことばにかいことば)売り言葉に買い言葉とはいえ、相手を気付ける言い方はよくない。(파는 말에 사는 말이라고, 상대방에 상처주는 말투는 좋지 않다.) 2018. 4. 11.
일본속담-믿는 도끼에 발등 찍히다 브루트스 너마저...케사르가 자신의 심복에게 암살당하면서 했던 말로 유명하죠.믿었던 사람에게 배신당한 기분은 어떨까요?그걸 빗댄 속담이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히다." 일본에도 비슷한 속담이 있습니다. 기르던 개에게 손을 물리다는 표현인데요. 飼い犬に手を噛まれる。(かいいぬにてをかまれる。) 育てた部下が敵軍に移った。飼い犬に手を噛まれるとは、このごとだ。(키웠던 부하가 적군에 투항했다. 기르던 개에게 손을 물린다는 말은 이걸 두고 하는 말이다.) 기르던 개가 주인 손을 물면 화나죠.... 2018. 4. 11.
일본어의 조사 「に」 일본어와 한국어의 공통점 중 하나가 조사가 있다는 겁니다. 일본어회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조사 「に」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장소 (존재하는 장소와 움직이는 장소) : ~에教室にいる。(교실에 있다)椅子に座る。(의자에 앉다) 사회적상황 : ~에서会社に勤めている。(회사에서 일하고 있다) 귀착점 : ~에羽田に着く。(하네다에 도착하다) 들어가는 장소 : ~에 / ~을/를大学に入る。(대학에 들어가다)バスに乗る。(버스를 타다) 변화의 결과 : ~이/가日本語先生になる。(일본어선생이 되다)春になる。(봄이 되다)水が氷になる。(물이 얼음이 되다) 목적 : ~러デパートへ買い物をしに行く。(백화점에 쇼핑을 하러 가다) 명목으로서思い出に写真を撮る。(추억의 사진을 찍다)合格祝いに時計をもらった。(합격선물로 시계를 받았다) 동작·작용의 .. 2017. 10. 22.
일본어의 조사 「を」 일본어와 한국어의 공통점 중의 하나가 바로 조사가 있다는 점입니다. 이 중 우리말의 '을/를'에 해당하는 조사 「を」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조사 「を」는 동작의 대상과 장소에 붙어서 사용됩니다. 먼저 동작의 대상에 붙어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ラジオを聴く。(라디오를 듣는다) - 타동사의 동작대상子供を学校に行かせる。(아이를 학교에 가게 한다) - 사역의 대상旅行をしたい。(여행을 하고싶다) - 바램의 대상ソウル大学を目指して勉強する。(서울대를 목표로 공부한다) - 바램의 대상 다음은 장소에 붙어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公園を散歩する。(공원을 산책하다) - 이동장소1号線はソウル駅を通って仁川に行く。(1호선은 서울역을 거쳐 인천에 간다) - 통과점家を出る。(집을 나가다) - 출발점電車を降りる。(전철에서 내리다) -.. 2017. 10. 15.
맞장구치다 상대방의 말에 동조하는 것을 우리말로 '맞장구'를 친다고 합니다.일본어에도 그런 표현이 있습니다. 「相槌(あいづち)」라고 하는데요. 일본인과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아주 중요합니다. 일본인들은 상대방이 말을 할 때 맞장구를 치는 것을 상대에 대한 예의로 생각합니다. 그 말을 잘 경청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지요. 「あいづち」의 대표적인 말이 「なるほど」입니다. 일본사람과 대화를 하는 중 많이 들을 수 있는 말입니다. 우리말은 '맞장구를 친다'고 합니다. 일본어도 비슷합니다. 「相槌を打つ」 (직역 : 망치를 때리다 - 의역 : 맞장구를 치다) 우리는 옛날에 동네에서 잔치를 할 때 풍물놀이를 합니다. 북, 장구, 꽹가리, 징 등을 들고 즐겁게 놀이를 하죠. 그 때 장구를 들고 서로 열심히 칩니다. 장구를 함.. 2017. 10. 14.
사물 주고받기 표현-받다 우리말의 '받다'에 해당하는 표현 「もらう」의 쓰임새는 우리문법과 다른 점이 하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말에는 '그는 나에게 책을 받았다'라는 표현이 허용되는데 비해, 일본어는 허용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彼は私に本をもらった」는 틀린 문장입니다. 私はあなたに本をあげた。(나는 너에게 책을 주었다)私はあなたに本をもらった。(나는 너에게 책을 받았다)あなたは私に本をくれた。(너는 나에게 책을 주었다)あなたは彼に本をあげた。(너는 그에게 책을 주었다)あなたは彼に本をもらった。(너는 그에게 책을 받았다)彼は私に本をくれた。(그는 나에게 책을 주었다)彼はあなたに本をくれた。(그는 너에게 책을 주었다)彼は彼女に本をあげた。(그는 그녀에게 책을 주었다)彼は彼女に本をもらった。(그는 그녀에게 책을 받았다) "너는 나에게 책을 주.. 2017.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