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니메이션2

반딧불이의 묘 (1988) 감독 타카하타 이사오 제작 스튜디오지브리 ⓒ新潮社 한 때 나의 3대 애니메이션은 중국의 테웨이 감독 작품 , 캐나다의 프레데릭 백 감독 작품 그리고 일본의 타카하타 이사오 감독 작품 였다. 그 정도로 이 작품을 좋아했다. 지금도 좋아한다. 처음으로 갖게 된 비디오테이프였으니까. 이 작품은 “1945년 9월 21일 나는 죽었다”라는 충격적인 독백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사후의 주인공 남매가 생전의 모습을 바라보는 형식으로 이야기를 진행한다. 그 구분은 화풍(畵風)으로 이뤄진다. 일반적으로 관객들은 사람이 직접 연기하는 실사영화를 보고 눈물을 흘릴지언정 그림이 움직이는 만화영화를 보고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 만화영화를 보며 감동도 받지 않는다. 저 연령층의 관객이 아닌 이상은. 그렇지만 이 영화는 애니메이션임.. 2019. 6. 13.
소중한 날의 꿈 (2011) 감독 안재훈 한혜진 제작 연필로 명상하기 ⓒ연필로명상하기 2005년 SICAF에서 처음 접했던, 마치 일본의 '스튜디오지브리'와 비슷한 화풍으로 매우 인상적이어서 개봉하게되면 꼭 봐야지 했던 영화를 2011년에 볼 수 있었다. 이 영화는 누구나 한 번쯤 겪게되는 사춘기 시절의 성장통과 첫사랑 이야기를 차분하면서 아름답게 표현한 작품이다. 특히 이 영화의 매력은 지금의 성인에게 시간을 과거로 되돌려놓은 듯한 어린시절의 추억을 맛볼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영화를 보면서 '아! 저런게 있었지~'하는 기분을 이곳저곳에서 느낄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이랑이네 방앗간 벽에 붙어있는 한복입은 여인의 포스터와 향원정의 그림이 있는 달력이라든가 심수봉, 송골매의 카세트테입은 1970년대의 모습을 이야기해준다. 하지만.. 2019.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