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어학습/일본어커뮤니케이션8

일본사람들이 특산품이나 선물을 받았을 때 하는 의례적 인사말 일본사람들이 특산품이나 선물을 받았을 때 하는 인사말을 정리해봤습니다. 「こんなことしていただいて悪いわ。」「困るな。」「そんなに気を遣わなくてもいいのに。」「いただいてもいいんですか?」☞ ‘ん’이 들어가면 진실된 기분이 담겼다는 뉘앙스가 느껴집니다.「よろしいでしょうか?」「じゃ、遠慮なくいただきます。」「私にですか?うれしいです。」「結構なものをいただいて、恐縮です。」☞ 恐縮는 매우 사무적인 표현입니다.「わあ、うれしい!ありがとう!」「私にはもったいないです。」☞ 최고의 겸손한 표현입니다.「申し訳ないです。」「かえって申し訳ない気がします。」☞ 자기가 줘야 할 순서인데 오히려 상대방에게 받았을 때 하는 표현입니다.「お気持ちだけちょうだいします。」☞ 그냥 마음만 받겠다는 표현입니다. 별로 친하지 않는 일본사람에게 물으면 실례되는 내용 이.. 2017. 9. 5.
일본어의 모호한 표현들 듣는 이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해 하는 표현으로 일본에서의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표현들을 정리해봤습니다. 우선 예를 들어 "ちょっと待ってください"가 있죠. 이와 같이 표현하고자 하는 말의 앞에 붙는 표현입니다.ちょっと~、一応~、まあ~、やっぱり~、どうも~ 이와 반대로 뒤에 붙는 표현입니다. ~だろう、~らしい、~ようだ、~みたいだ、~と思われる、~かもしれない 앞 뒤로 붙는 표현도 있습니다.たぶん~だろう、どうも~らしい 도중에 붙는 말도 있죠.~でも~、~など~、~なんか~ 그리고,, 중립적인 표현으로 긍정과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말들이 있습니다. 긍정의 의미 : ぼちぼちです、まあまあです부정의 의미 : 考えておく、善処する또한, 원래 긍정적인 표현이지만 억양의 변화와 강세에 따라 거절의 의미로 변화.. 2017. 9. 4.
일본인의 거절표현 일본사람들은 거절할 때 상대방의 기분을 생각하면서 정중히 거절하는 습관을 지니고 있습니다.그 기분은 알겠지만 오히려 외국인이 봤을 때 오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17/09/01 - [일본어커뮤니케이션] - 일본인의 거절방법그 대표적인 것이 "考えておく"라는 말입니다. 우리말로는 생각해두겠다는 말인데 이 말이 일본사람들의 대표적인 거절표현입니다.예를 들어 가게에서 점원이 점장에게 급여를 올려달라고 했을 때 점장이 "考えておく"라고 말했다면 그것은 생각조차 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대놓고 급여를 올려줄 수 없다고 말하기에 미안하니까 그렇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다른 표현이지만 이것도 하나의 거절표현입니다. A : 「Bさん、明日行ける?」B : 「うーん?行けないかもしれない。」이 경.. 2017. 9. 3.
‘一応’는 어떨 때 쓸까 일본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一応'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습니다.그럼, '一応'라는 말은 어떨 때 사용할까요? 우선 사전을 찾아보면 이렇게 나와있습니다.(완전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일단, 대강, 대충, 우선은, 어쨌거나, 거의 그렇게 생각하는 회화의 예로 대략 정리해봤습니다. A : 「卒業論文はもうできましたか。」 (졸업논문은 다 끝냈습니까?)B : 「はい、一応できました。」 (네, 일단 대략 끝냈습니다.)이럴 경우에는 대략, 대강, 대충 뭐 이런 뜻으로 사용됩니다. A : 「君はまだ大学生ですか。」 (자네는 아직 대학생인가?)B : 「いいえ、去年、一応卒業しました。」 (아니요, 작년에 이미 졸업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겸손의 의미가 있습니다. A : 「夏休みは国へ帰るんですか。」 (여름방학에 모국으로.. 2017. 9. 2.
일본인의 거절방법 일본사람들은 상대방의 제안을 거절할 때 직설적으로 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표현합니다.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려는 배려의 마음때문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주말에 꽃구경을 가자고 제안을 합니다. 이럴 때 한국사람은 시간이 없거나 바빠서 못 간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일본사람은 못 간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가고싶은 마음은 있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이 아쉽다는 느낌을 상대방에게 어필하고자 애를 쓰지요. 花見ですか。いいですね。でも、週末にはアルバイトがあって~(꽃구경요? 좋은 생각이네요. 하지만 주말에 아르바이트가 있어서 좀....)ああ、週末ですか。行きたいんですけどね~(아, 주말요? 가고싶긴 합니다만...) 이렇게 가지 못한다는 말 대신에 말끝을 흐려버리는 거죠. 딱 잘라 거절하기보다는 나도 거기에 동참하.. 2017. 9. 1.
일본어의 1인칭과 2인칭 모든 말의 기본은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1인칭부터 시작됩니다.영어를 배울 때 'I'부터 시작했듯이 말이죠. 그 다음에 상대방을 가리키는 2인칭으로 이어집니다. 일본어도 마찬가지입니다. 1인칭인 わたし를 배운 후에 2인칭인 あなた를 배웁니다 그런데 여기서 잠깐!!일본인들은 회화에서 사실상 わたし를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굳이 말을 하지 않아도 알기 때문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프레젠테이션이나 면접을 볼 때 자신의 일을 강조할 때 등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あなた도 회화상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함부로 사용하면 실례가 되기 때문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이냐.그건 다음과 같습니다. 불특정다수가 대상인 경우설문조사나 광고 등에 한합니다.다만, 부.. 2017. 8. 31.
일본어로 인사할 때 한국어의 기본인사는 "안녕하세요"입니다.아침, 낮, 저녁과 관계없이 모두 같습니다.이에 비해 일본어의 기본인사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아침, 낮, 저녁이 다릅니다. 아침인사는 おはようございます。낮 인사는 こんにちは。저녁인사는 こんばんは。 그런데 이 중에서 아침인사는 누구에게나 다 하는 인사입니다. 예를 들어 가족에게도, 친구에게도, 직장동료에게도, 이웃에게도 아침에 만나면 "おはようございます。"라고 하죠. 하지만 낮인사와 저녁인사는 다릅니다."こんにちは"와 "こんばんは"의 경우 사용해야 하는 상대와 상황에 따라 인사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우선 낮인사와 저녁인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정기적으로 만나는 동료나 같은 반 친구 등을 그 현장(직장이나 학교 등)에서 만날 때가족이나 룸메이트 등 함.. 2017. 8. 30.
일본어의 미안하다는 표현 일본에 가면 가장 많이 듣는 말이 '스미마셍(すみません)'이라는 표현일 겁니다.미안하다는 표현이죠. 그만큼 일본사람들은 사과하는 습관이 몸에 배어있습니다. 그런데 이 '스미마셍'이라는 표현이 단순히 사과할 때 뿐만 아니라, 예의를 표현한다거나 부탁할 때도 '스미마셍'이라는 말이 들어갑니다. ご迷惑かけてすいません。お手数をかけてすみません。面倒をかけてすみません。すみませんが… 이 외에도 お手数ですが…ご面倒ですが…失礼します。失礼しました。가 있습니다. 2017. 8. 29.